'패럴림픽(Paralympics)'의 뜻
: 신체적, 감각적 장애가 있는 운동선수들이 참가하여 펼치는 올림픽경기대회
'패럴림픽'이라는 단어의 유래
창설 당시에는 하반신 마비를 뜻하는 '패러플리지아(paraplegia)'와 '올림픽(Olympic)'을 합성하여 만든 용어였지만 신체가 불편한 모든 장애인을 대상으로 범위가 확대되면서 '신체장애인들의 올림픽'으로 발전했어요.
이후 패럴림픽을 비장애인과 다를 바 없다는 의미에세 동등하다는 의미의 '패럴(parallel)'로 보기도 해요.
'패럴림픽'의 역사
영국의 신경외과의사인 루드비히 구트만(Guttmann, L) 박사가 2차 세계대전에서 척수장애를 당한 전역군인들의 재활 수단의 하나로 양궁 대회인 '스토크맨더빌 게임'을 개최한 것을 계기로 시작되었고, 매년 스토크맨더빌에서 열리다가 1952년 국제 대회로 격상되며 '국제 스토크맨더빌 게임'으로 이름이 바뀌었어요.
장애인 스포츠기구 국제조정위원회(ICC)가 조직되어서 매년 7월 런던에서 대회를 개최해 오다가 1960년 제9회 국제 스토크맨더빌 게임이 제17회 하계올림픽 개최지인 로마에서 열리며 최초의 하계 패럴림픽이 되었어요.
이때부터 올림픽과 패럴림픽이 같은 장소와 경기장에서 동등하게 개최되었어요.
1972년 제4회 하이델베르크대회 때부터 참가범위가 모든 장애인으로 확대되었고 1976년에는 스웨덴 외른셸스비크에서 제1회 동계패럴림픽대회가 열렸으며 이후 올림픽과 같이 2년마다 하계와 동계대회가 번갈아 개최되고 있어요.
1988년 서울올림픽때부터는 올림픽이 폐막한 후 1달 정도 기간 내에 올림픽이 개최되었던 도시에서 개최해요.
1989년에는 국제장애인올림픽위원회(IPC,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가 탄생했고, IPC는 ICC의 모든 권리를 승계받아 패럴림픽과 세계선수권대회를 직접 관장하고 있어요.
하계 패럴림픽 경기 종목
장애인 양궁, 장애인 육상, 장애인 배드민턴, 보치아(boccia), 장애인 사이클, 장애인 승마, 시각 축구(football 5-a-side), 장애인 골볼(goal ball), 장애인 유도, 장애인 카누, 파라트라이애슬론(Paratriathlon 장애인 철인 3종 경기), 장애인 역도(파워리프팅). 장애인 조정, 장애인 사격, 장애인 수영, 장애인 탁구, 장애인 태권도, 장애인 배구, 휠체어 농구, 휠체어 펜싱, 휠체어 럭비, 휠체어 테니스 등 총 22개 종목이 있어요.
동계 패럴림픽 경기 종목
장애인 알파인 스키, 장애인 크로스컨트리 스키, 장애인 바이애슬론, 장애인 스노보드, 장애인 아이스하키, 휠체어 컬링 등 총 6개 종목이 있어요.
*출처:나무위키, 네이버지식백과
■대한민국 패럴림픽 역사
1960년 제1회 로마 장애인 올림픽 대회
1968년 제3회텔아비브 하계 패럴림픽 대회 대한민국 첫 참가
1972년 제4회 하이델베르크 하계 패럴림픽 대한민국 첫 금메달 획득
1976년 제1회 외른셸스비크 동계 패럴림픽 개최
1988년 제8회 서울 하계 패럴림픽 대한민국 개최
1992년 제5회 티니-알베르빌 동계 패럴림픽 대한민국 첫 참가
2002년 제8회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패럴림픽 대한민국 첫 메달 획득
2018년 제12회 평창 동계 패럴림픽 대한민국 개최
패럴림픽은 1960년 로마에서 제1회 장애인 올림픽대회가 열린 뒤 1964년 도쿄에서 열린 제2회 대회부터 패럴림픽이라는 명칭을 공식화하여 사용했어요.
우리나라는 1968년 처음으로 하계 패럴림픽에 참가했고 1992년에는 첫 동계 패럴림픽에 참가했어요.
2020 도쿄 패럴림픽
걱정과 우려 속에서도 2020 도쿄 하계 올림픽이 무관중경기로 무사히 잘 치러졌어요.
2020 도쿄 패럴림픽이 8월 24일(화) 개막식을 시작으로 9월 5일(일)까지 13일동안 열려요.
이번 도쿄 패럴림픽에서 대한민국은 총 14개 종목에 159명의 선수단이 출전해요.
태권도가 이번 패럴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겨루기와 품새 종목중 겨루기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어요.
도쿄올림픽에 이어서 패럴림픽 또한 전면 무관중으로 개최한다고 해요.
대한장애인체육회 홈페이지에 가면 경기 생중계나 대회 종목, 일정 등을 알 수 있어요.
우리 대한민국 선수단은 종합 20위를 목표로 한다고 해요.
열심히 땀 흘린 만큼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우리 함께 응원해요.

개와 고양이와 반려식물 함께 키우기 반려동물에게 안전한 식물
개와 고양이와 반려식물 함께 키우기 반려동물에게 안전한 식물
우리 집 강아지가 또는 고양이가 화분의 풀을 뜯어먹나요? 우리 집 멍냥이가 화분의 흙을 파헤치나요? 반려동물도 키우고 싶고 반려식물도 키우고 싶을 때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 정보를 가지고
wonpicky.tistory.com
'일상이야기 > 일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찜닭에 꽂힌 닭집애 천천동 일월도서관 로제 찜닭 맛집 (0) | 2021.09.03 |
---|---|
옥수수 한번에 많이 삶는 방법 찰옥수수 고르는 꿀팁 옥수수 효능 (0) | 2021.08.31 |
우리동네 스시신조 천천동 회전초밥 맛집 소개 (0) | 2021.08.23 |
개와 고양이와 반려식물 함께 키우기 반려동물에게 안전한 식물 (0) | 2021.08.22 |
코로나19 백신 화이자 1차 접종 후기 통증 강도? (0) | 2021.08.21 |
댓글